푸념은 그만하고. <div style="padding:10;background-color:#FFE6E6;">이런 글 남아봤자 나중에 보면 속상하기만 하다는 걸 알면서도, 참을 수 없는 감정 배설의 욕구가 아무나 보라는 블로그에 저런 자폭스러운 글을 떡하니 올려놓게 하는구나.</div>
<div style="padding:10;background-color:#FFE6E6;">이런 글 남아봤자 나중에 보면 속상하기만 하다는 걸 알면서도, 참을 수 없는 감정 배설의 욕구가 아무나 보라는 블로그에 저런 자폭스러운 글을 떡하니 올려놓게 하는구나.</div>
세미나 무사히 잘 끝났다.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보겠다고 이 논문 저 논문 들여다보면서 고민했었는데. 과연 이게 될까 싶은 놈으로 결국 발표, 교수님도 긴가민가 반응이긴 하지만, 그래도 질렀으니 밀고 나가야지. 그림 그려서 다시 얘기해보자는 건 안되는 거라도 증명을 하자는 거니까. 되긴 될꺼야. 별 contribution이 없어서 그렇지. :-)
일단 생각나는 문제들. <div style="padding:10;background-color:#F0F0F0;">사용자와 시스템의 belief space유지를 어떻게 할지, 어떻게 추가되고 삭제할지 결정해야 하고. world knowledge에서 evidence가져오고 belief space에 적용시킬 때 어떻게 할지 모르겠고. 제일 중요한 reasoning 어떻게 할지 생각 안나고. belief space 어떻게 표현할지도 모르겠고. Jess가 rule based reasoning system이라고 했겠다. 어떻게 쓰는지 숙지해놔야지. JESS IN ACTION 책 훑어보자. 추론해서 결론 나온 걸 어떻게 적용시킬지도 모르겠구나. 다시 world knowledge를 찾아봐야 하는 건데. 뭐 그냥 DB search하면 되는건가. 네트워크 전이에 조건들을 더 붙여서 응답발화같은게 네트워크 상태 따라 다르게 나오게 해야 할테니 레이어를 멀티로 열라 복잡하게 만들면 결국 negotiation까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막상 발표를 하고 보니 그건 negotiation이 아니고 strategy였더라. 그래도 결국 negotiation이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될 것이라 보니. 밀고나가자.</div>
<div style="padding:10;background-color:#F0F0F0;">사용자와 시스템의 belief space유지를 어떻게 할지, 어떻게 추가되고 삭제할지 결정해야 하고. world knowledge에서 evidence가져오고 belief space에 적용시킬 때 어떻게 할지 모르겠고. 제일 중요한 reasoning 어떻게 할지 생각 안나고. belief space 어떻게 표현할지도 모르겠고. Jess가 rule based reasoning system이라고 했겠다. 어떻게 쓰는지 숙지해놔야지. JESS IN ACTION 책 훑어보자. 추론해서 결론 나온 걸 어떻게 적용시킬지도 모르겠구나. 다시 world knowledge를 찾아봐야 하는 건데. 뭐 그냥 DB search하면 되는건가. 네트워크 전이에 조건들을 더 붙여서 응답발화같은게 네트워크 상태 따라 다르게 나오게 해야 할테니 레이어를 멀티로 열라 복잡하게 만들면 결국 negotiation까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막상 발표를 하고 보니 그건 negotiation이 아니고 strategy였더라. 그래도 결국 negotiation이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될 것이라 보니. 밀고나가자.</div>